서브컨텐츠
소개
○ 연구실 명칭 : GIS연구실(KHU GIS Lab)
○ 지도 교수 : 황철수 교수 (Prof. Hwang, Chul-sue)
○ 전화번호 : 02-961-9188
○ FAX번호 : 02-964-0250
○ 위치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경희대학교 Space21 이과대학 521호
구성원 소개
[ 박사과정 ]
- 홍혁진(박사1기)
[ 석사과정 ]
- 이승연(석사수료)
- 손선민(석사3기)
- SHI SHUQI(석사3기)
- 양지원(석사1기)
- 장진아(석사1기)
[ 학사과정 ]
- 남현우(4학년)
- 이정무(2학년)
졸업생 소개
[ 박사 ]
- 김진광, 2007, 컬러항공사진의 밴드 특성과 DEM 정확도의 상관성 연구, 중앙항업
- 박지만, 2008,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참여형 GIS 연구, 한국국토정보공사 국토정보교육원
- 문성국, 2018, 모바일 기기 기반의 사용자 적응형 지도제작 연구, 한국국토정보공사 국토정보교육원
- 원석환, 2018,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한 통일 후 북한 도시 토지이용 변화 시뮬레이션,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최희정, 2018, 해양공간관리와 누적영향평가 연구: Agent-based modeling과 GIS를 활용한 시나리오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김강민, 2024, 사회적 취약성 지수 개발 및 GeoAI 기반 활용성 평가
- 황태건, 2024, 모빌리티 현상의 이해 : 유사성에 기초한 이변량 흐름의 공간적 자기상관성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석사 ]
- 이지영, 2001, GIS의 공간통계분석을 활용한 지가분석
- 황선영, 2001, GIS를 활용한 범죄의 공간패턴분석 : 주거침입절도를 사례로, 팅크웨어
- 박은주, 2002, Landsat ETM+ 영상을 활용한 가뭄 민감도 분석
- 이용원, 2003, 휠체어 이용자들을 위한 지도제작 방안에 관한 연구
- 정상훈, 2003, 토지특성과 지가의 공간분포 분석을 통한 공시지가 표준지 선정에 관한 연구
- 최희정, 2003, GIS와 다기준분석법(MCA)을 활용한 연안지역 평가방법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최경희, 2003, GIS의 공간통계분석을 활용한 지가분석
- 김혜진, 2003, 지도 주기의 위치 할당 자동화에 관한 연구
- 박명규, 2003, 과학수사를 위한 GIS의 활용, 양명여고 교사
- 안은자, 2003, 공간 통계 분석을 이용한 DEM 오차 패턴 연구, LH공사
- 양병윤, 2004, GIS를 활용한 응급의료지의 효과적 분포, 동국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 이형동, 2004, GIS와 RS를 활용한 토지이용 변화분석: 고양시 택지개발을 사례로
- 박해경, 2005, GIS를 이용한 비점오염원의 공간적 변화분석: 경기도 광주시를 사례로, 국토연구원
- 임영수, 2005, SVG를 이용한 인터넷 관광지도의 구현
- 신우람, 2005, GIS를 이용한 범죄의 시공간적 패턴 연구, 통계청
- 정우진, 2005, SVG를 이용한 지도의 공간검색에 관한 연구
- 이기욱, 2006, DEM 정확도 평가를 고려한 검사점 공간분포, 팅크웨어
- 조성진, 2007, Vulnerability analysis for the flood of urban area using multi-agent system,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박지영, 2008, 버스이용의 접근성 차이에 따른 교통취약지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 정우화, 2009,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자의 체류 공간 분포에 관한 연구, 엠앤소프트
- 김은경, 2009, Sequential Object Clustering for Spatio-temporal Data Analysis, Luxembourg Institute of Socio-Economic Research(LISER)
- 문성국, 2010, GIS를 이용한 대중교통 노드(NODE)의 계층성 분석, 한국국토공사 국토정보교육원
- 원석환, 2010, 접근성 변동에 따른 도시토지이용의 시·공간적 변화에 관한 연구: 경기도 남양주시를 대상으로, 한국국토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이원도, 2011, 압축성 평가 및 지가변동 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 공간구조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강전영, 2012, 지리적 사상의 Geo-Ontology 적용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 전현주, 2012, 에이전트모형을 이용한 정책적 젠트리피케이션 영향에 따른 주거지선택 변화: 시범 뉴타운(길음, 은평) 사례로
- 오두리, 2013, 인구분포 추정을 위한 공간통계모형의 비교연구, University Of Georgia
- 홍석현, 2015,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비정형 지리자료의 수집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임업진흥원,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양은정, 2015, 지역 연구에 있어 유형별 시공간 비정형 데이터의 비교 분석, 경희대학교 관광학부 교수
- 황태건, 2017, 의사결정트리를 활용한 관광지 선택가정에 대한 연구 –수도권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최문기, 2018, IOT 센서의 공간빅데이터를 활용한 실내 대피경로제공 모델링, Florida State University
- 백아란, 2019, 친환경 교통수단의 통행 변화와 에너지 최적 경로 탐색, 구리시청
- 유건화, 2019, Urban Population Dynamics and Spatio-temporal Urban structure
- 김우용, 2021, 가상현실 기반의 3차원 지도 환경에서 공간 인지 연구
- 이유빈, 2021, 감염병 의료시설 접근성 및 확진자 발생 지역요인 분석, Texas State University
- 김현민, 2023, 온라인 지도 기반 도시 교통 정체의 시공간적 특성 및 패턴 연구 :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를 중심으로
- 지상훈, 2023, 오픈소스 분석도구를 활용한 공유자전거 서비스의 도시 내 격차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공데이터 활용 사례
- 이종환, 2023, 대한민국 사적(史蹟)의 공간적 패턴 분석 : Geomorphon을 중심으로
- 조서림, 2024, 마이크로 스케일 도시 열 환경의 비선형적 해석 :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중심으로
- 홍혁진, 2024, 도시공원 공간적 접근성과 도시민 삶의 질의 상관성 연구 : 서울시를 대상으로
- 김현정, 2024, Exploring Urban Crosswalk : A Graph Neural Network Approach
- 김지민, 2025, LiDAR-Based CityGML Automation Framework: Building 3D Urban Models for Energy Simulations
- 조윤재, 2025, 교차로 교통환경의 복잡성에 따른 교통사고 상관성 추정 :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를 사례로
연구분야
- Geovisualization
- Multi-Agent Simulation
- 지도 제작 및 일반화
- 위성 영상 정보 처리, 분석 및 유통
- IS based on Geo-data
- Spatial Science
- Digital Photogrammetry
- Cellular Automata
- Error propagation
- Web-based GIS
- Real-time GIS
- Spatial Data Warehouse
- Bigdata Analysis
- Agent Based Modeling
- Micro Simulation
- Living Lab
- Smart City
- IoT based Air-Pollution Monito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