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
연구분야 | 개요 |
---|---|
고분자화학 | 물리화학과 유기화학을 기초로 하여 거대분자인 고분자의 합성 방법을 학습하고 물성적 특성을 연구하여 새로운 신소재로의 응용에 기초가 되는 특성을 연구한다. |
무기화학 | 무기화학적 관점에서 원자 및 분자 구조를 살펴보고 화학결합, 분광학적 성질, 자기적 성질, 구조, 화학 반응을 설명함으로서 여러 가지 용매나 기체상에서의 산·염기화학, 고체화학, 배위화학, 유기금속화학, 나노화학 등 무기화학의 다양한 분야를 공부한다. |
물리화학 | 여러 가지 화학적 현상이나 반응의 물리적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 분자의 구조와 반응성 및 물성 등을 다양한 이론 및 실험연구를 통해 이해하고자 한다. |
분석화학 | 화학물질의 규명을 위한 분석화학의 이론 및 원리를 연구하고 미량 분석, 표면분석 등과 같은 첨단 분석 기술을 습득케 하여 화학반응을 이해하고 추리하는 능력을 학습한다. |
생화학 | 생화학의 원리와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단백질, 핵산등 생고분자 물질의 삼차원적 구조와 생리활성 및 반응기전을 학습하고, 생명체가 어떻게 탄수화물 에너지를 이용하여 생명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공부한다. |
유기화학 | 유기화합물의 구조, 반응 및 메카니즘을 학습하고, 혼합물의 분리법 및 새로운 합성 방법 개발과 이를 이용한 기능성 유기화합물의 합성과 그 응용을 학습한다. |
이름 | 직위 | 학위 | 학위수여대학 | 전공 | 연구분야 | |
---|---|---|---|---|---|---|
김용호 | 교수 |
|
University of Minnesota | Physical and Computational Chemistry | 1.여러 가지 다중 수소이동반응에 대한 반응동역학적 연구 2.생무기 및 금속촉매의 반응메카니즘에 대한 이론적 연구 3.Graphene위의 수소원자이동에 대한 이론적 연구 4.HIV Protease의 저해제의 작용메카니즘에 대한 이론적연구 |
yhkim@khu.ac.kr |
이학박사 | ||||||
변송호 | 교수 | 이학박사 | University of Bordeaux I | Inorganic and Solid State Chemistry | 1.층상구조 화합물의 합성 및 광학소재로의 응용 2.형광물질 합성 및 디스플레이 소재로의 응용 3.산화물의 전기적 자기적 성질 및 에너지소재로의 응용 4.고압(high pressure)하에서 산화물 합성 및 구조, 물리적 성질변화 연구 |
shbyun@khu.ac.kr |
이영식 | 교수 | 이학박사 | Columbia University | Physical Chemistry | 1.분자간의 에너지 전달 연구 2.고해상도 적외선 분광학 3.환경 화학/표면 화학 4. 지속가능발전 교육 |
yongslee@khu.ac.kr |
김학원 | 교수 | 이학박사 | Iowa State University | Synthetic Organic Chemistry | 1. 의약화학 : 신약 합성 및 활성 연구 2. 헤테로고리 화학 3. 유기합성방법론 연구 |
hwkim@khu.ac.kr |
양성익 | 교수 | 이학박사 | Seoul National University | Analytical Chemistry | 1.나노물질의 합성 및 응용 연구 2.나노물질 위해성 연구 3.중금속 검출 분자 형광체 개발 및 특성 연구 4.광변색 물질의 합성 및 특성 연구 |
siyang@khu.ac.kr |
강성호 | 교수 | 이학박사 | Seoul National University | Bioanalytical Chemistry | 1.나노바이오 이미징 기술개발 (Nanobio Imaging) 2.새로운 단일분자 검출 및 조작기술 개발 (Novel Single-Molecule Detection & Manipulation) 3.바이오칩 (Biochip) 및 랩온어칩 연구 (Lab-on-a-chip) 4.미세분리기술 개발 (Micro-Separation) 5.모세관전기영동/마이크로칩전기영동 기술개발 (Capillary & Microchip Electrophoresis) 6.휴대용 고감도 분석법 및 분석기기 개발 (Portable High Sensitive Analytical Method & Instrument) 7.새로운 진단법 및 진단시스템 개발 (New Diagnostic & System Development) |
shkang@khu.ac.kr |
김광표 | 교수 | 이학박사 |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 Biochemistry | 1.생명현상 메커니즘의 이해를 위한 연구 2.다양한 분석기술을 토대로 생물체계를 구성하는 각 분자 개개의 기능, 구성요소들의 상호관계, 전체 체계 |
kimkp@khu.ac.kr |
강은주 | 교수 | 이학박사 | Seoul National University | Organic Chemistry | 1.유기 촉매 및 금속 촉매 반응 연구 2.유기합성 방법론 연구 3.천연물 전합성 연구 4.생합성 및 에너지 변환 반응 연구 |
ejkang24@khu.ac.kr |
이민형 | 교수 | 이학박사 | Northwestern University | Material Chemistry | 1. 에너지 변환용 전기화학 촉매 개발 2. 에너지 저장용 소재 개발 3. 나노패터닝 신공정 개발 4. 금속 나노구조체의 플라즈몬 특성 및 응용연구 |
minhlee@khu.ac.kr |
강경태 | 부교수 | 이학박사 | KAIST | Chemistry | 1. 아밀로이드 올리고머와 기능적 아밀로이드 연구 2. 글리코뉴로화학 연구 3. 뉴런-물질 인터페이스 연구 |
kkang@khu.ac.kr |
유은정 | 교수 | 이학박사 | KAIST | Organic Chemistry | 1.전이금속 촉매를 이용한 유기반응 개발연구 2.촉매반응의 응용 및 메커니즘 규명연구 3.생리활성 물질 합성 |
ejyoo@khu.ac.kr |
김명준 | 조교수 | 공학박사 | Seoul National University | Electrochemistry | 1.전기화학을 이용한 반도체 화학 공정 2.금속 나노입자 성장 메커니즘 3. 전기화학 촉매 |
myungjun.kim@khu.ac.kr |
김민호 | 조교수 | 이학박사 | KAIST | Physical and computational chemistry | 1. 밀도범함수이론(DFT)의 보정 방법론 개발 2. DFT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 소재 전산모사(전기화학/광촉매) |
minho.kim@khu.ac.kr |
김병곤 |
조교수 |
공학박사 |
KAIST |
Materials Chemistry |
1. 이차전지 소재 개발 및 셀 공정 2. 나노 소재 합성 및 분석 3. 계면 제어 기술 |
byunggonkim@khu.ac.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