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Department of International Korean Language and Culture
교육목적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는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이들에게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전문적으로 교육하거나 이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국가 및 문화 간 교류와 협력이 활발해진 오늘날에 있어 본 전공은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세계화하는 데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할 인재 양성에 궁극적 개설 의의가 있다.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의 교육과정은 한국어교육학과 한국문화학 과정으로 나뉜다. 한국어교육학 과정은 한국어교육의 내용학과 교수법 관련 강의들로 구성되며 한국문화학 과정은 한국문화에 대한 연구 및 교육 관련 강의들로 구성된다.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를 졸업하면 대학의 교수나 연구소의 연구원 등으로 활동할 수 있으며, 지정과목 이수 후 졸업 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수여하는 한국어교원 2급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어 국내외의 대학교나 관련 기관의 한국어 교원으로 진출하여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가르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개황 및 연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는 2007년에 개설되었으며,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이들에게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전문적으로 교육하거나 이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의 교육과정은 한국어교육학과 한국문화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어교육학 과정은 한국어학과 한국어교육학의 두 과정으로 세분된다. 한국어학은 음운론, 문법론, 화용론 등을 포함하며, 한국어교육학은 한국어발음교육, 한국어어휘교육, 한국어문법교육, 한국어담화교육, 한국어교수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습득 등으로 구성된다. 한국문화학 과정은 한국문화 내용학과 한국문화 교육학으로 세분되며, 한국문화 내용학에는 전통문화, 현대문화, 한국문학 등이 포함되며 한국문화교육학에는 한국문화교육, 한국문학교육 등이 포함된다.
연구분야 및 개요
연구분야 |
개요 |
한국문화 |
한국문화의 내용 및 교수 방법을 연구한다. |
한국어교육 |
한국어교육의 내용 및 교수 방법을 연구한다. |